리뷰 네비게이션

본문내용

교과목소개

  • 건설방재학(Disaster Prevention in Construction)
    건설 및 재난안전 분야의 기술자로서의 삶의 태도를 정립할 수 있도록 리더십에 대해 배우고, 각종 자연재해의 발생원인, 진행, 결과 등을 이해하고 방재기술 전반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공학수학(Engineering Mathematics)
    공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수학적 접근 방식의 토대와 전공 교과목들과 관련된 수학의 기초 개념을 좀 더 심도 있게 다루고 이를 바탕으로 다변수 함수의 미분과 적분, 벡터함수, 미분방정식 등을 학습한다.

  • 유체역학(Fluid Mechanics)
    향후 수리학, 상하수도 공학 분야의 전공지식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체, 액체 등의 유체에 관한 역학적 특성 및 현상을 학습한다.

  • 정정구조해석(Structural Analysis of Determinate Structures)
    구조물의 해석을 다루는 학문으로, 트러스, 라멘 등의 정정구조물의 단면력 및 처짐을 구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측량학1(Surveying1)
    건설공사, 조경공사, 도시계획, 지형조사 등 각종의 국토조사를 위한 이론을 습득하고그 응용력을 함양하기 위해 측정과 오차의 이론, 거리측정, 각 측정, 삼각측정, 삼변측정, 시거측정, 평판측정, 수준측정, 지형측정, 면적측정 등을 학습한다.

  • 건설안전공학(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건설현장의 재해요인을 예측하고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건설안전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건설공사의 추락, 전도, 붕괴 등의 사고형태 및 안전대책)과 건설업의 위험성 평가방법을 학습한다.

  • 수리학(Hydraulics)
    개수로와 관수로의 흐름, 유체의 에너지 변화, 난류의 유속분포 및 흐름 특성, 각종의 유량 측정방법 및 측정용 구조물의 역학적 이해, 하천 토사의 이동 등 각 종의 유체에 관련된 기본개념을 학습한다.

  • 재료역학 및 실습(Mechanics of Materials)
    단면의 성질, 압축, 인장, 전단, 휨, 비틀림, 처짐, 응력과 변형, 기둥안정과 에너지 이론 등을 이론적 해석을 통하여 학습한다.

  • 측량학2(Surveying 2)
    측량학의 내용을 심화시키는 과목으로 지형측량, 노선측량, 항공사진을 이용한 항공측량,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위성을 이용한 리모트 센싱 등을 학습한다.

  • 철근콘크리트공학(Reinforced Concrete)
    철근콘크리트의 개념과 재료의 특성, 역학적 성질, 설계방법과, 이를 기초로 하여 보의 휨 해석과 설계 및 전단 설계에 대해 학습한다.

  • 건설재료학(Materials for Construction)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각종 재료의 특성 및 거동에 대해 학습하는 학문으로서 석재, 아스팔트 재료, 흙, 목재, 강재, 콘크리트 재료, 시멘트, 플라스틱 및 고분자 재료 등 이러한 재료로 구성 제작된 각 부재 등에 대하여 그 물리적 및 공학적 특성 등을 이론 및 실험을 통해 학습한다.

  • 토질역학1 (Soil Mechanics 1)
    토목재료의 기본적 재료인 지반토의 물리적 특성과 형성과정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토양의 함수비, 공극, 밀도, 비중, 흙의 입도와 입도별 특성, 특수성과 지반의 내의 유체의 흐름 등을 이론과 실험을 통하여 학습한다.

  • 부정정구조해석(Structural Analysis of Indeterminate Structures)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단면력과 처짐을 구하기 위해 정정구조물의 처짐과 부정정구조물의 단면력을 구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건설시공학(Construction Engineering)
    각종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다루는 광범위한 분야로 도로, 교량, 하천, 항만, 철도, 댐, 운하, 공항, 상하수도, 준설매립 등의 내용뿐만 아니라 구조물 관리 및 안전관리, 공정관리 등에 대해 학습한다.

  • 수문학(Hydrology)
    물의 생성, 순환, 분배 및 물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과 환경과의 관계 등의 수문현상에 대한 근본 원리를 학습한다.

  • 철근콘크리트구조설계(Structural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철근콘크리트구조를 바탕으로 전단, 사용성, 압축 및 슬래브의 거동을 이해하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방법을 학습한다.

  • 재해통계학(Disaster Data and Statistics)
    방재분야에서 발생하는 많은 자료로부터 방재대책을 계획하고 수립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통계학의 기본 이론과 데이터 분석방법을 학습하고 실제 데이터와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전관련 문제에 응용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 토질역학2(Soil Mechanics 2)
    토질역학1을 기초로 하여 각종 토목 및 건축구조의 기초 설계는 물론 연약지반의 처리대책 등을 터득하기 위해 토질의 역학적 특성 즉 압밀, 전단강도, 토압론, 사면안정 및 사면처리방법 등을 학습한다.

  • 강구조설계 (Design of Steel Structures)
    재료역학 및 구조해석을 기초로 하여, 복잡한 형태의 하중을 받는 강구조물의 구성요소인 인장부재, 압축부재, 휨 부재, 연결 등 강구조물의 설계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상하수도공학(Water Supply & Wastewater Engineering)
    상하수도의 계통 및 기본 계획, 상하수도 시스템의 구성요소, 정수 및 하수처리의 방법과 처리를 위한 각종의 단위조작법, 정수처리장 및 하수처리장의 설계 및 운영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PS콘크리트구조설계(Structural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PS콘크리트의 구성 재료의 특성, 프리스트레싱 방법 및 정착장치, 프리스트레스의 도입과 손실, 휨 부재의 해석 및 설계, 전단과 비틀림에 대해 학습한다.

  • 기초공학(Foundation Engineering)
    각종 구조물의 기초 시공 및 설계를 위해 기초 지반의 공학적 정의를 이해하고, 각 기초의 종류와 종류별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각 구조물 기초설계 기준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설계기술자들의 기준 설정 배경과 각 기준의 내용을 이해하며 실제 설계과정을 학습한다.

  • 재난관리론(Disaster Management)
    자연재난과 사회적 재난에 관한 일반이론(개념과 재난위험), 재난관리체계의 효율화 방안, 재난사례의 조사 분석과 국가적 차원에서의 재난관리시스템에 대해서 학습한다.

  • 구조물안전성해석(Structural Analysis for Safety)
    연속체인 구조물을 1차원 요소, 2차원 요소, 3차원 요소로 분할하여 각기의 영역에 관하여 유한요소법 등을 활용하여 안전성 해석방법을 학습한다.

  • 시스템안전공학(Safety Engineering for Systems)
    과학적, 공학적 접근을 적용하여 각종 시스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식별하고 예방방법과 제어에 필요한 지식, 안전성 확보를 위한 통계적 기법, 위험성 평가 이론의 소개 등에 대한 공학적 접근 방식을 학습한다.

  • 도시방재학(Urban Disaster Prevention)
    산업이 발달되어 있고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 지역에서의 재해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각종 재해에 대비한 방재도시 조성, 도시기반시설의 재해 대응능력 제고, 사람 중심의 안전, 안심 생활공간 조성 등에 관해 학습한다.

  • 재해영향성평가(Disaster Impact Assessment)
    각종 개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재해에 대한 예측 및 평가, 재해영향 저감대책 수립을 통해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해영향성평가서 작성, 평가방법 등에 관한 규정, 재해영향성평가서 검토 및 협의 등에 관해 학습한다.

  • 건설안전종합설계(Capstone Safety Design with PBL in Construction)
    이전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한 건설 및 재난안전 분야의 전반적 지식을 바탕으로 공공 및 산업 분야의 재난안전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와 관련된 종합적인 과정을 학습한다.

  • 재난안전법규(Laws on Disaster Safety)
    재난 및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건설재해예방계획 수립,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 유해 위험방지 등)의 관리와 건설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재해(건설물이나 설비작업의 위험에 따른 응급조치, 안전장치 및 보호구의 정기점검, 정비 등)의 예방과 관련된 법규, 안전교육 및 안전대책 수립 등에 관해 학습한다.

  • 현장실습(Field Placement)
    하계 방학기간 동안 사업체 현장에 방문하여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한 이론적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활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과 경험을 습득한다.

  • 건설 분야 창업(Business Start-up in the Field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건설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지닌 기술이나 공정 등을 개발하고, 이를 자신이 직접 적용하는 사업체를 창업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행정적, 재정적 요소에 대해 학습한다.

리뷰 네비게이션